스스로의 학습법에 대해 참 많은 것을 느꼈던 한 주였다 ... 우선 redux에 대해선, 튜터님께 돌아가는 로직/순서를 자세히 설명 들어서 어느정도 흐름은 파악한 것 같다. 그리고 level2 과제를 하면서 로직을 어떻게 짜야할지 정말 고민을 많이 했는데, 좋은 점도 있고 나쁜 점도 있었던 것 같다. 1) 좋았던 점 : 내가 구상했던 로직이 얼추 다 맞았던 점. 에서 경로 설정도 그렇고, 리듀서 로직도 그렇고, 해설영상을 보니 대부분 비슷하게 생각했던 것 같아서 좋았다. 2) 나빴던 점 : level2과제의 로직에 매몰된 나머지, level2도 모두 완성하지 못했고 (페이지 라우팅에서 실패) level3는 손도 대지 못했다. 다른 조원분들을 보니 구글링을 통해 어떻게든 구현을 하셨던데, 이 부분을 꼭 배..
https://www.notion.so/WIL-week1-c0bbbd67d15948e98562276c817b4cf2?pvs=4 WIL - week1 FACTS(사실, 객관) : 이번 일주일 동안 있었던 일, 내가 한 일 www.notion.so Facts -5/12 ~ 5/19 : 조원 소개 프로젝트 진행. 우리팀명은 speaking potato, 프로젝트명은 24/7 올타임 레전드. -내가 한 일 : 메인페이지 html 및 css 짰던 것, 회원 추천하기(좋아요) 기능에 조금 참여했던 것 Feelings -BE 분이 계셔서, dB를 활용한 모든 기능들이 계획대로 구현되어 신기했다. (구현할 수 있을지 몰랐다…) -특히 추천하기 기능은 이전 조에서 실패해서 js로만 구현했었고 dB로 관리하기까지는 실패했..
https://www.notion.so/Day4-ba629423d98347f68d4a11651414e497?pvs=4 Day4 기타 www.notion.so 기타 restful api를 적을 때는 명사, 복수형으로 되도록 적는 것이 좋음 html의 데이터 속성 (https://velog.io/@yunsungyang-omc/HTML-데이터-속성-사용하기-data-attribute 참고)-개발자가 정의하고 싶은 속성명을 기재해주고 속성값을 써주면 사용자 변수가 완성 -hidden으로 태그를 숨겨둘 필요 없는게 장점 -예) data-code=”001” -데이터셋은 태그 내에 data~ 로 시작하는 키워드를 기재 → 하이픈(-)이 조합된 형태 GIT
https://www.notion.so/Day3-7174a80f71d143888181b25b6c7d1f05?pvs=4 Day3 웹 퍼블리싱 정복 www.notion.so 1-6. CSS 트랜지션(애니메이션) 개념 -css파일 외부시트 처리방법, js 외부시트 처리방법 $(".button.클래스명") .mouseover(function () { $(this).css({ backgroundColor: "Black", color: "white", }); $(".button.클래스명") .mouseenter(function () { $(this).addClass("on"); }) -button.use와 클래스명을 동시에 가진 태그를 의미 (예를 들어 일 경우, .button.use-css라고 표현) -this(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