Q1. 학생들의 성적 총합 & 평균 구하기
A1.
1) output 변수 : 문자열을 담기 위한 변수
2) for반복문에서 학생 정보를 하나씩 처리할 때마다, output변수에 그 학생의 이름, 총점, 평균을 문자열로 추가
Q2. coffeeList +=
=>위 코드에서의
var coffeeList = "";
var addEspresso = function (name) {
coffeeList += "," + name ❓
console.log(coffeeList)
setTimeout(addAmericano, 500, "아메리카노")
}
🤔 단순 숫자or num같은 셈변수랑 +=이 같이 쓰이면 이해가 된다. 근데 이번처럼 일반변수랑 같이 쓰이면 아직 헷갈린다.
❗️
-단순화해보면 coffeeList += name
-coffeeList = coffeeList + name과 같은 말
-왼쪽 피연산자인 coffeeList 변수에 <- 오른쪽 피연산자인 name값을 추가해줌 (+콤마(,)도 곁들여서) -> 이후 그 결과를 다시 coffeeList에 할당
-결과적으로, coffeeList변수에는 <-이전에 추가된 커피의 이름들과 현재 name값들(+콤마(,)) 을 추가한 결과가 저장됨
+)추가로
var coffeeList = "";
var _addCoffee = async function (name) {
coffeeList += (coffeeList ? "," : "") + (await addCoffee(name)) ❓
}
❗️
-단순화해보면 coffeeList += coffeeList? ", " : " "
-coffeeList에 대한 조건문이 하나 더 낀 것
-coffeeList의 값이 true이면 ,을 coffeeList에 추가 <-> falsy면 빈 문자열을 coffeeList에 추가
(이때 falsy라 함은 - coffeeList의 값이 undefined / null / 빈 문자열 / 0)
'기타 > (기타) 헷갈리는거, 어려운코드, 효율적인코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객체 - 클래스 - 인스턴스 (+ 속성자) (0) | 2023.04.27 |
---|---|
상수 사용 vs 변수 사용 (0) | 2023.04.26 |
[Javascript] 오류의 종류 (0) | 2023.04.26 |
[Javascript] [CSS] 라디오박스 vs 체크박스 (0) | 2023.04.25 |
4/25 (1) | 2023.04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