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outube 클론코딩 - 청크부분
1
url부분 설명)
2
const { data: { items: channelsData } } = await axios.get(
`${YOUTUBE_API_URL}/channels?part=snippet,contentDetails&id=${channelIds.join(
","
)}&key=${API_KEY}`
);
=> 나눠서 생각해볼 수 있는데,
❶ const { data } = response;
- const { data } = response; 이 코드는 response 객체의 data 속성을 data라는 이름의 변수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이때 data 변수에는 response.data에 담긴 데이터가 저장됩니다.
- 그런데 우리가 실제로 필요로 하는 데이터는 data 객체의 items 속성에 담겨 있습니다. 이를 위해 더 깊숙히 비구조화 할당을 수행합니다.
❷ data: { items: channelsData }
data 객체 안에 있는 items 속성의 값을 channelsData 변수에 할당하는 방식입니다. 즉, channelsData에는 data.items의 값이 저장됩니다.
=> 📝결론적으로, data객체 속에서 items 속성을 추출하고, 그것을 channelsData라는 변수에 할당한다는 의미
'[Project] > [API & DataBase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B] [supabase] (0) | 2023.08.24 |
---|---|
[FireBase] [clonecoding] 소셜로그인 (0) | 2023.08.15 |
[Url/Uri] useParams (0) | 2023.08.04 |
[Url/Uri] useLocation (0) | 2023.08.03 |
[DB] [FireBase] GET data (0) | 2023.07.22 |